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음정(Interval) 완벽 가이드 │ 2도부터 8도까지 단계별 학습

서론 │ 음정은 음악의 뼈대입니다 음악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는 ‘음’이지만, 두 음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면 화성과 선율을 제대로 느낄 수 없습니다. 이 두 음 사이의 거리, 즉 **음정(Interval)**이 음악의 뼈대를 이룹니다. 가요의 멜로디, 클래식의 화음, 재즈의 즉흥연주 모두 음정 이해에서 출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올 수 있도록 음정의 개념, 명칭, 2도부터 8도까지의 실제 예시, 그리고 연습법까지 단계별로 정리하겠습니다. 음정의 기본 개념 │ 두 음 사이의 거리입니다 음정은 두 음 사이의 **높낮이 차이**를 뜻합니다. - **수적 명칭**: 두 음 사이에 포함된 계이름(CDEFGAB)의 개수입니다. (예: 도~레 = 2도, 도~미 = 3도) - **질적 명칭..

카테고리 없음 2025. 9. 17. 11:09
박자와 리듬 기초 │ 2박자·3박자·4박자 쉽게 구분하기

서론 │ 박자는 음악의 숨결, 리듬은 움직임 악보를 보면 3/4, 4/4 같은 숫자가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이 숫자가 곡의 “호흡”을 정하는 박자(Meter)입니다. 그 위에 음표와 쉼표가 길고 짧게 배열되어 만들어지는 구체적 패턴이 리듬(Rhythm)입니다. 같은 4/4라도 리듬이 달라지면 분위기는 전혀 다른 곡처럼 느껴집니다. 이 글은 초보자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2·3·4박자의 체감법, 6/8 같은 복합박자, 변박과 당김음(싱코페이션)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박자 vs 리듬 │ 핵심 개념 한 장 요약 박자(Meter): 음악을 일정한 단위로 나누는 틀(마디). 강세의 규칙(예: 2박은 강-약, 3박은 강-약-약).리듬(Rhythm): 박자라는 틀 위에서 길고 짧은 음표·쉼표가 만들어내는 모양..

카테고리 없음 2025. 9. 16. 11:24
쉼표와 침묵의 미학 │ 쉼표 기호와 쓰임새 총정리

서론 │ 소리는 멈춤에서 완성된다 음악은 단순히 소리의 연속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적절한 침묵(Rest)이 들어갈 때 곡은 호흡을 얻고, 청자는 더 깊이 집중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들이 악보를 배울 때 종종 쉼표를 가볍게 넘기지만, 쉼표는 음악에서 ‘숨’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이 글에서는 각 쉼표 기호의 종류와 길이, 실제 연주에서의 쓰임, 그리고 음악적 의미를 총정리합니다. 쉼표의 기본 개념 │ 음표와 같은 길이의 침묵 쉼표(Rest)는 음표(Note)의 반대 개념입니다. 음표가 ‘소리의 길이’를 나타낸다면, 쉼표는 ‘침묵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쉼표 역시 온쉼표, 2분쉼표, 4분쉼표처럼 음표와 동일한 단위 체계를 가집니다. 단순히 ‘비어 있는 공간’이 아니라, 엄연히 계산되어야 ..

카테고리 없음 2025. 9. 15. 09:26
음이름과 계이름 정리 │ 도레미와 CDE 차이 이해하기

음이름과 계이름 정리 │ 도레미와 CDE 차이 이해하기 서론 │ 왜 음이름과 계이름을 헷갈릴까? 악보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음이름(도레미)’과 ‘계이름(CDE)’의 차이입니다. 피아노 학원에서 선생님은 "여기 도를 눌러보세요"라고 하지만, 이와 동시에 악보에는 C라고 적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어떤 교재는 G코드를 "솔"이라고도 하고 "G"라고도 하니 초보자 입장에서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음이름과 계이름의 개념 차이, 역사적 배경, 실제 연주에서의 쓰임새, 초보자가 헷갈리지 않고 정리할 수 있는 학습 팁까지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 음이름과 계이름의 기본 개념 - **음이름(도레미)**: 우리가 소리를 부를 때 쓰는 고유 이름으로, ‘절대적인 소리’..

카테고리 없음 2025. 9. 11. 11:27
악보 보는 법 완전 초보 가이드 │ 오선보·박자·조표 한 번에 이해

악보는 음악을 가장 정확하고 압축적으로 기록하는 언어다. 기호 몇 개만 정확히 읽어도 곡의 높낮이, 길이, 빠르기, 셈여림, 분위기까지 대부분 복원할 수 있다. 이 글은 처음 악보를 접하는 독자를 위해 오선보, 음자리표, 박자표, 음가·쉼표, 조표(장조·단조), 임시표, 셈여림·아티큘레이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마지막에 10분 실전 루틴으로 마무리한다. 핵심은 “전체 구조를 먼저 보고, 규칙을 작은 예시에 즉시 적용”하는 것이다. 악보 읽기의 전체 지도: 먼저 ‘틀’을 본다 악보를 펼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세부 음표가 아니라 틀(프레이밍)을 파악하는 것이다. 페이지 맨 앞과 각 줄의 제일 처음을 순서대로 훑는다.① 어떤 음자리표인가(높은음자리·낮은음자리·다음자리 등)② 조표가 붙었는가(샾·플랫의..

카테고리 없음 2025. 9. 10. 12:53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운영자 : 닉네임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